2010. 9. 16 창간
2014. 10. 6 발행
(월요일 325호)
사실 | 문장 | 논조 | 문화 | Media.khan.kr (Noribang) | 편집 | 광고 | 여론 | 소통
영상에 등장하는 축제 예술감독 분이 '시민과 축제의 접근'을 부탁했듯,
거리에서 사람들과 친숙하고 예의 있게 접근할 수 있는
그런 경향신문이 되기를 바라 봅니다. 창간 68주년을 축하합니다. ^^
오늘 신문은 40면으로 평소보다 8면 더 늘어났으며,
그 자리에는 '한국 사회'를 묻는 기획이 실려 있었습니다.
몇 년째 '사회'에 대한 질문이 창간 기념호마다 나온다는 것은,
그만큼 사회라는 것이 '만만하면서도 절실히 필요한' 소재라는 뜻일까요...
그 사회를 다양하게 변주하고, 시민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언론의 미덕을 다시금 바라 봅니다. 경(서울)에서도 향(지방)에서도...
<또 미국과 함께 북한에 대한 강경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을 바꾸고, 궁극적으로 미국의 대북 관여를 이끌어내려는 ‘심모원려(深謀遠慮)’도 엿보인다.>
* 심모원려 : 깊은 꾀와 멀리 보는 생각.
* 개인적으로는 '속내'나 '의도' 정도로 간단하게 쓰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자주 접하지 않는 한자 성어를 가져오는 것이 멋은 있어 보이지만 이해에는 글쎄요...
<특히 단조, 전선, 동·동합금 업체들의 83~91%가 신규 채용을 하겠다고 답했다.>
* 단조 : 금속을 불로 달궈서 모양을 바꾸거나 가공하는 것
<하지만 정부는 ‘비인가 학교’를 다닌다는 이유로 박씨에게 교육급여를 지급하지 않았다.
문제는 경기 안성의 한겨레 중·고등학교와 서울 중구의 여명학교 등 단 2개교라는 점이다.>
* 지시하는 대상 표기 : <<문제는 인가받은 대안학교가.... 단 2개교라는 점이다.>>
<이 상품은 처음 암 진단을 받았을 때는 물론 2년마다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돼 다른 암으로 진단 확정되는 경우에도 보험금을 지급한다. 가입자가 보장개시일 이후에 일반암으로 진단이 확정되면 최대 3000만원, 이후 2년마다 재진단 암으로 확정되면 최대 3000만원을 지급한다. 보험가입금액 1500만원, 10년 만기 가입 시 30세 여성의 월 보험료는 3만1935원(남성은 2만7240원)이다.>
* '보험금'과 '보험가입금액'의 개념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보험금은 보험에 가입한 이가 보험사에 청구해 실제로 지급받는 돈이고,
보험가입금액은 보험증권 계약상으로 지급하기로 약속된 돈이라는 점에서...(참조)
<볼가강 수원지를 따라 러시아 정교회의 상징인 종소리 연주와 전통 민속춤인 카팍 등
러시아의 원류를 만나본다.> => 볼가강 수원자로 가는 길을 따라
<이미림의 공 바로 뒤에서 먼저 퍼팅을 해야 하는 스테이시 루이스(미국)의
라이를 엿볼 수 있다는 게 희망이었다.>
* 라이(Lie) : (골프공이) 놓여있는 상태
<이하 수순은 총보로 미룬다(204는 ▲, 208은 202의 곳).>
* 백의 204수가 이미 그림에 나와 있는 점으로 볼 때,
▲ 자리에 둔 돌은 패를 다시 따낸 흑의 205수로 생각됩니다.
<민주주의는 정당‘들’ 사이에 존재한다. 하나의 정당이 국민을 대표하는 체제를 민주주의라고 하지는 않는다. 민주주의라면 정당들은 시민을 나눠서 대표하고, 그들의 이익과 열정을 달리 결집해야 한다. 그간의 경제민주화나 복지국가 주장이 현실을 호도하는 기능을 한 것은, 노사를 포함한 생산자 집단들의 조직화와 관계없는 담론이었기 때문이다. 모두가 국민을 앞세워 소통과 인권, 정의 등 보편이익을 최대로 강조했음에도 사회가 최대로 분열되고 불평등이 심화된 것도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정당이니 모바일투표니 오픈프라이머리니 하면서 당원 구별 없는 국민 참여를 강조했던 것이 실제로는 친노니 비노니 하는 당내 계파싸움의 수단이 되고 정당을 분열 위기로 몰고 간 것도 같은 이유다. 모두가 좋아하는 유럽의 합의제 민주주의 국가들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사회적 지지 기반에서 정당 간 차이가 뚜렷하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정당들이 사회갈등의 실질적 조정자 역할을 진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부분 간의 차이에 기반을 두지 않는 전체는 내용 없는 가짜이기 쉽다.>
* 정당이 어떤 사회적 부분/집단을 나누어 대표하고, 달리 결집해야 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일리 있는 말로 보이지만... 시민들은 어떤 공통적인 가치나
맥락을 무시하지는 않는 것으로도 보입니다. 특히 '생산자 집단의 조직화'라는 개념이
정당 민주주의 등 '편리하고 다양한 시민 참여'라는 개념과 충돌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언론 등의 개선과 함께 조화롭게 가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노동 집단적 기반을 가진 '진보'를 표방하던 정당들이 어떤 고생을 했고,
포괄적인 국민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면...
물론 다원화된 사회로서 이득을 적극 대변해 주는 정당을 좋아하겠지만,
사람들은 생각보다 복합적인 면을 갖고 있다는 느낌도 들고요.
* 1966년 10월 6일, 창간 20주년을 맞은 날 경향신문의 만평입니다.
이 그림은 '여러 소비자'와 '타당한 세상 이야기'를 찾아나서는 언론의 속성이
미래에도 유지된다면, 여전히 지금도 유효한 그림으로 보입니다.
'=====지난 시리즈===== > Noribang의 석간 경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7. [체육의 날] 오리 날다?! (0) | 2014.10.15 |
---|---|
326. [한로] 가을 달밤이 오면... (0) | 2014.10.08 |
324. '검색되는' 천안문과 달라이 라마, 그렇지만... (0) | 2014.09.30 |
323. 때로는 말없는 금요일 (0) | 2014.09.26 |
322. [4백 번째 이야기] 세 가지 광고를 보며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