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시리즈=====/최희진의 뉴스브리핑

서로 '네탓'이라는 민주당

홍준표 경남도지사 취임 이후 진주의료원 폐업을 밀어붙이고 있는 경남도가 3년 전까지만 해도 진주의료원을 살릴 수 있다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경향신문이 경남도의회 속기록을 살펴본 결과 2010~2011년 경남도는 진주의료원의 부채와 적자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며 상황이 호전될 기미도 있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은 10일 경남 진주와 창원을 방문해 진주의료원과 경남도의회에서 의견을 청취하고 홍 지사를 만나 중재에 나설 예정입니다.

경남도, 3년 전엔 적자 진주의료원 “회생 가능” 판단

“돈 없는 사람이 죽기 전에 오는 곳… 진주의료원 사태 남의 일 아니다”

[무너지는 공공의료]‘만성 적자’ 강릉의료원, 공공병원 역할 살리면서 흑자 꿈

홍준표, 경남도의회서 진주의료원 관련 조례 개정안 놓고 설전



민주통합당 대선평가위원회가 대선 패배 원인과 책임론을 담은 18대 대선 평가보고서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평가위는 보고서에서 대선 패배의 원인으로 당의 미흡한 선거 전략과 사전 준비, 당 지도부의 책임 의식 및 리더십 부족, 선거조직의 방만한 운영 그리고 후보의 정치역량 부족 등을 꼽았습니다.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은 “공인으로서 내린 결정이나 행동이 대선 패배에 일조했다고 생각하면 책임을 져야 한다”며 문재인 전 후보를 비롯, 한명숙·이해찬 전 대표, 박지원 전 원내대표, 문성근 전 대표대행 등을 실명으로 거론했습니다. 

“문재인·이해찬·박지원 대선 패배 책임져야”

[민주당 대선평가보고서]“이해찬 ‘단일화 필승론’ 과신… 이·박 담합으로 당 이미지만 훼손”

[민주당 대선평가보고서]“50~60대 지지층 이탈, 계파갈등·리더십 부재 탓”

[민주당 대선평가보고서]문재인이 ‘승산’ 알고도 안철수 단일화 제안 수용 안 한 게 최대 패착

주류·친노 반발 “친노 책임, 결론에 끼워 맞춘 보고서”


한완상 민주당 대선평가위원장(오른쪽)이 9일 국회에서 대통령선거 평가 최종보고서인 ‘18대 대선평가보고서 패배원인 분석과 민주당의 진로’에 관해 기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김영민 기자 viola@kyunghyang.com



살아 생전 ‘철의 여인’으로 불렸던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죽어서도 상반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미국과 독일 등 각국 지도자들은 대처 전 총리의 죽음에 일제히 애도를 표했지만 그의 신자유주의 민영화 정책에 고통받았던 영국의 시민들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영국 총리실은 “여왕의 동의에 따라 대처 전 총리의 장례식은 국장에 준하는 장례 의식으로 런던 세인트폴 성당에서 거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철의 여인’ 대처, 살아서도 죽어서도 상반된 평가

마거릿 대처 ‘국장’ 준하는 장례… 여왕 참석은 미지수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의 개성공단 내 노동자 철수와 조업 잠정 중단에 대해 “위기를 조성한 후 타협과 지원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언제까지 반복해야 하겠나”라고 말했습니다.

사실상 북한이 먼저 태도를 바꾸기 전까지는 타협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남북 간의 '강 대 강' 대결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은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비공개로 회의를 열고 "정부와 언론이 북한의 자존심을 건드려 조업 중단이라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졌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북 위기 조성 후 타협과 지원 악순환 언제까지” 박 대통령, 개성공단 입장 밝혀

개성공단 업체들 “남북 왜 협상 않나… 중소기업 대표단 북한 보내달라”

“정부·언론, 북 자존심 자극해 파국” 개성공단 입주업체 대표들 ‘성토’

개성공단 업체들 지원책… 남북협력기금 보상 가능액 3515억뿐

현대아산, 금강산 피해 이어 개성공단 개발권마저 잃나

[사설]‘개성공단의 침몰’을 바라만 볼 것인가



5억원이 넘는 연봉을 받는 상장기업체 임원의 개별 연봉을 공개토록 하는 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임원들의 연봉을 공개해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책임도 강화하겠다는 게 여야가 합의한 입법 취지입니다.

재계는 “반기업 정서를 확산시킬 것”이라며 반발했고 시민사회는 “이사회의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반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