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시리즈=====/최희진의 뉴스브리핑

정부 조직, 다시 노무현 시절로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에게 ‘김영란법’을 적용했을 경우 총리로 지명되기 어려운 것으로 27일 확인됐습니다.

안 후보자가 지난해 말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 재직 중 기업의 세금 소송을 맡은 것이 ‘김영란법’의 공직자 이해충돌 방지 조항에 정면으로 위배되기 때문입니다.

안 후보자는 지난해 11월18일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에 위촉된지 보름 만에 나이스홀딩스가 영등포세무서를 상대로 낸 법인세 3억3449만여원 취소소송 항소심을 변호했습니다.

안대희, '김영란법' 적용 땐 총리 못해

안대희 “세무 사건 맡은 게 많아 국세청 감독위원장직 내려놨다”

정동기 한 달 1억 수입 ‘낙마’… 안대희 한 달 3억, 차원이 달랐다

안 후보자 ‘장남 군 복무 특혜’ 논란

‘안대희 카드’ 불똥 튄 여 당권주자들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교육부 장관이 교육·사회·문화 분야를 총괄하는 부총리제를 신설키로 했습니다.

지난 19일 대국민담화 발표 때 조직과 인사 기능을 떼어내기로 한 안전행정부에 다시 조직 분야를 존치시키고 명칭은 행정자치부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정부 조직의 큰 골격이 6년 전 노무현 정부 때로 되돌아간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교육부총리 부활, 행자부 개명...정부 조직, 다시 '노무현 시절로'

“내각 3두체제는 권력집중될 국무총리 견제용” 분석





학생들에게 학교와 사회는 의문이 있어도 끊임없이 “가만히 있으라”고 요구하는 또 하나의 ‘세월호’였습니다. 

고등학생·대학생·탈학교 청소년 활동가 등 5명이 지난 25일 경향신문에서 연 ‘세월호를 말한다’라는 주제의 집담회에서 ‘가만히 있으라’는 명령을 세월호 사고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배가 침몰하는 상황에서 흘러나온 ‘가만히 있으라’는 선내 안내방송은 한국사회에서 불의와 부조리에 맞닥뜨렸을 때 택해야 하는 삶의 방식을 단적으로 보여줬습니다.

"10대 세월호 추모집회에 정치적 색안경 낀 정부 씁쓸"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종 여론조사에서 야당 우세가 두드러진 결과를 놓고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세월호 책임론’ 분위기에 위축된 여권 지지층이 ‘무당파’로 숨었고, 야당 지지층이 과다대표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20%를 넘는 ‘무당파’의 실제 표심을 읽어내지 못할 경우 2010년 지방선거 당시 틀린 여론조사를 낸 실패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여론조사, 야당 우세 일색...이번엔 '여당 지지층'이 숨었나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에 두 차례 전화를 걸어 ‘우리가 남이가! 김기춘 실장 갈 데까지 가보자!’라는 현수막을 내려달라고 종용한 검사는 인천지검의 부장검사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태종 구원파 대변인은 27일 “금수원 정문에 걸린 ‘김기춘 실장 현수막’을 내려달라고 전화를 한 검사는 인천지검 외사부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인천지검은 김진태 검찰총장이 “다 해명하라”고 지시했음에도 사실 공개를 미룬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구원파 "인천지검 검사가 '김기춘 실장 현수막 제거' 전화했다"

유병언 장녀 파리서 체포… 인도 불복 땐 현지서 재판





고승덕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지난 20일 세월호 희생자 폄하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임원회의에 참석했으며, 이 자리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발언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 후보는 당시 발언의 진위 논란이 일자 한기총 임원회의가 끝나기를 기다려 인사만 했고, 누군가 ‘전교조 좀 제대로 해보라’는 말에 “네”라고 답만 했다고 밝혔습니다. 

고 후보가 해명 과정에서 거듭 거짓말을 한 것이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전교조 절대 수용할 수 없다" 발언 고승덕 후보, 한기총 모임 때 했다

문용린, 거리 유세에 교육청 직원 교장 등 동원

교육감 선거, 정책 실종 '노이즈 마케팅'





금융권에 ‘희망퇴직’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같은 금융권이라도 희망퇴직에 따른 보상은 업종별·회사별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퇴직금 이외에 5년치 연봉을 위로금으로 받는 희망퇴직자가 있는가 하면, 3개월간 임금의 70%만 받으며 퇴사 갈림길에 놓인 대기발령자도 있습니다.

희망퇴직도 '부익부 빈익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