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민주노동당 울산시당이 경향신문에 절독 통지문을 보냈다. 경향신문이 북한 3대 세습에 관한 민주노동당 입장을 비판했기 때문이다. 당사자들 사이의 갈등은 당사자들이 공방을 이어가면서 깊어지고, 논쟁은 진보 진영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민실위는 민주노동당 울산시당의 이같은 대응이 언론에 대한 부당한 간섭인지, 언론소비자의 정당한 권리행사인지를 심각하게 고민한 끝에 ‘부당한 간섭’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절독 통지문에서 ‘적절한 조치가 없을 때는 전당 차원에서 절독 운동을 벌여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한 점은 위협과 협박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정당이 분명한 입장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일부러 과잉 반응을 했다고 이해하더라도, 언론 자유와 독립의 가치를 정면으로 훼손했음은 변할 수 없는 사실이다.
물론 언론은 독자와 시청자의 감시, 견제를 받아야 한다. 이른바 조중동 절독 운동은 우리 사회 가장 대표적인 언론 견제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부당한 보도가 반복되고 그것이 사회적 공감 과정을 거쳐 절독 운동이 되고, 폐간 운동이 된다. 이러한 언론 감시와 견제에 정당이라고 참여하지 못하란 법은 없다. 무수한 정치인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조중동 아웃을 외쳤다. 그러나, 정당이 운동 차원이 아니라 자신의 이해에 따라 선별적으로 대응할 때는 다르다. 대응의 수위가 적절해야 하고 대응의 명분이 분명해야 한다.
이번 사안은 특정 정당의 특정 시당이 특정 언론사에 대응한 문제다. 경향신문이 사회 전반에 걸쳐 절독 또는 폐간 운동의 대상이 된 바 없고, 민주노동당 또한 그렇게 판단하고 있지는 않으니, 특정 언론사의 특정보도에 대응한 문제다. 특정 보도가 부당했다고 가정할 때, 고려해볼 수 있는 대응은 무엇일까? 반론보도 요구, 정정보도 요구, 법적 대응, 절독, 절독 또는 폐간 운동 전개가 전부라 할 수 있다. 민주노동당 울산시당은 이 가운데 절독을 선택했고 절독 운동 확대의 가능성도 열어뒀다. 만약 통지문에 나온대로 민주노동당이 전당 차원에서 절독 운동을 벌인다면 경향신문에 가해지는 압박의 정도가 삼성 광고보다 덜할 리 없을 것이다. 낙하산 사장 반대 투쟁 벌이면 언론사 문 닫게 하겠다는 정권의 협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민실위는 민주노동당이 정권의 언론장악 시도에 맞서 투쟁해왔음을 상기한다. 이번 사안을 가지고 민주노동당의 언론관을 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민주노동당 대표는 ‘말하지 않는 것이 민주노동당의 선택이다. 이것 때문에 비난받아야 한다면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동당은 선택했고, 경향신문은 비판했다. 선택과 비판 사이의 논쟁이 진행 중이다. 그것으로 족하다. 비난도 감수 하겠다고 했는데 비판했다고 절독 한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민주노동당 울산시당이 절독 방침을 철회하는 것이 순리다.
2010년 10월 13일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언론노조홈페이지)
'미디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에게 경향신문 사설은 무엇이었나' 토론회(언론개혁시민연대보도자료) (0) | 2010.10.15 |
---|---|
옥천 문화제 개최 (0) | 2010.10.15 |
현 정권의 언론장악 5.6공 닮아가 (0) | 2010.10.13 |
최시중 방통위원장 종편 황금 채널 부여 고려 (0) | 2010.10.12 |
트위터 이용자의 정치관여 수준 일반 SNS 이용자보다 높아 (3) | 201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