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뉴스

트위터 이용자의 정치관여 수준 일반 SNS 이용자보다 높아

지난 6·2 지방선거 당시 정치에 무관심했던 이들까지 투표장으로 이끌 정도로 강한 힘을 보여준 것은 트위터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11일 발표한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제6호 <트위터의 정치사회적 영향과 시사점>은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 현황을 분석, 그 정치사회적 영향을 전망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리포트에 따르면 트위터 이용자들의 정치적 관여 수준은 여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이용자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위터 이용자들이 인터넷 게시판에 지지 정당 및 정치인에 대해 의견을 게시하는 경우(29.5%)는 다른 SNS 이용자(17.2%)보다 12.3%나 많았다.

정치인의 연설을 경청하는 경우도 트위터 이용자(59.0%)가 다른 SNS 이용자(48.8%)보다 많았고, 정당이나 정치인에게 후원금을 납부하는 경우도 트위터 이용자(17.3%)가 다른 SNS 이용자(13.8%)보다 많았다.


(KISDI 제공)


 
KISDI는 “트위터 이용자들은 정치사회적 어젠다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적극적인 의제 설정 및 여론 형성 능력을 발휘했을 뿐만아니라, 정치적 이슈에 대한 관심도 및 참여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 6·2 지방선거 당시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이 직접 생산하고 소통해 얻는 정치 정보(42%)는 언론사 및 포털, 정당 사이트 등 전통적 매체를 통해 얻는 정보(44%)와 비슷한 양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접 정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식이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정치 참여를 이끌어 내고 있는 셈이다.

트위터 이용자들은 다른 이용자들이 직접 작성(16.4%)하거나 리트윗(RT)한 글(13.4%), 블로그나 카페 등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과의 직접적 소통을 통한 메시지(10.8%) 등을 통해 선거 관련 정보를 얻었다. 이는 언론사 사이트(16.1%), 포털 사이트 뉴스 링크(15.7%), 정치인이나 정당이 트위터나 웹사이트(11.8%) 등 기존 정통 정치정보 공간을 통해 선거 관련 정보를 얻은 경우를 합친 것과 비슷한 수치다.

 
트위터 이용자들이 생산한 정치적 메시지 중 상당수는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직접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한 내용이었다.
6·2 선거에서 트위터 이용자들이 게시판에 정치적 메시지를 올린 유형을 살펴보면 직접 작성한 것이 54.6%에 달했고, 직접 퍼나르기(33.6%)나 메시지를 변형해 퍼나르기(11.8%)한 것 등 RT로 메시지를 공유한 것은 45.5%로 나타났다.

6·2 선거 당시 트위터 이용자들이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접한 정보와 이슈는 바로 “선거 및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메시지”(31.8%)인 것으로 조사됐다. KISDI는 “6·2 선거 당시 80%의 투표 참여수준을 보였던 트위터 이용자들이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투표참여 의향(90% 이상)을 밝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KISDI 제공)



이같은 분석 결과에 대해 KISDI는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정치사회적 참여 욕구가 매우 높고 향후 주요한 정치일정 하에서는 이들의 참여와 영향력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보다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참여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트위터의 정치사회적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잘못된 정보의 유포나 확산에 따른 혼란(24.9%), 정책이슈보다는 후보자 개인 중심의 미디어 정치로 전락(20.4%), 정치인 팬클럽 간의 과잉경쟁에 따른 갈등 증폭(17.8%) 등 역기능이 우려된다”고도 지적했다.

이고은 기자 freetree@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