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88’이 온 국민의 희망처럼 떠받들어진 시절이 있었다. 군사정권이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88년 서울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국가의 명운이 걸린 것처럼 선전했고 이를 모든 언론이 충실하게 보도했기 때문이었다. 국민은 ‘86·88’이 모든 것인 양 떠들어대는 소리에 식상해 하면서도 집요한 주입교육에 세뇌되어 갔다.
이젠 그런 시절이 지나갔나 했지만 그게 아니다. 또 다시 파상적인 G20 정상회의 홍보 공세가 펼쳐지고 있다. 이 회의가 국운상승과 선진국 도약의 계기라고 선전하는 정부에 공영방송 KBS가 적극 호응하는 보도행태가 지나쳐 보인다. KBS 새 노조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 7월 3일 ‘G20 특별기획-희망로드 대장정’ 시리즈를 시작으로 KBS가 방송했거나 방송 예정인 G20 관련 특집 프로그램이 TV에만 60여편, 편성시간으로는 55시간(3300분)이었다고 한다. 새 노조는 엊그제 ‘G20 방송 광풍, 누구를 위한 것인가’란 성명을 냈다. 성명은 ‘특별기획 국가탐구 G20’ ‘G20 특별기획 세계정상에게 듣는다’ 등 특집과 시도 때도 없이 나오는 G20 홍보 스팟과 일일 뉴스까지 합하면 그 시간은 어마어마하다”고 지적했다. 상당수 인력이 G20 특집에 투입돼 정규 프로그램 제작마저 차질을 빚을 정도라고 했다.
우리는 새 노조의 문제제기가 적절했다고 본다. G20가 중요한 국제행사인 것은 맞다. 방송은 그 의미를 충분히 조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G20의 명과 암을 균형된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G20 정상회의-쾌적한국 일류로 가는 길’ 특집류의 찬양 일변도는 행사 홍보, 정권 홍보에 앞장선다는 인상 이상의 것을 시청자들에게 주기 어렵다. G20에 대한 비판이 만만치 않음에도 선진국의 환상을 심어주기에만 급급하는 것은 도리어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국민은 1980년대의 주입식 홍보에 현혹될 의식 수준을 넘어선 지 오래다. 그런데 방송은 옛날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는 꼴이니 이것이야말로 후진적 방송의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사람들은 G20 회의 하나 잘 치렀다고 해서 선진국이 되는 게 아님을 잘 안다. 이 정권은 4대강 사업 등에 반대 여론이 높은 주요 원인을 홍보부족 탓으로 돌리고 있다. KBS가 공영성 강화보다 정권 홍보에 힘을 쏟는 데는 이런 까닭이 있는 것인가.
이젠 그런 시절이 지나갔나 했지만 그게 아니다. 또 다시 파상적인 G20 정상회의 홍보 공세가 펼쳐지고 있다. 이 회의가 국운상승과 선진국 도약의 계기라고 선전하는 정부에 공영방송 KBS가 적극 호응하는 보도행태가 지나쳐 보인다. KBS 새 노조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 7월 3일 ‘G20 특별기획-희망로드 대장정’ 시리즈를 시작으로 KBS가 방송했거나 방송 예정인 G20 관련 특집 프로그램이 TV에만 60여편, 편성시간으로는 55시간(3300분)이었다고 한다. 새 노조는 엊그제 ‘G20 방송 광풍, 누구를 위한 것인가’란 성명을 냈다. 성명은 ‘특별기획 국가탐구 G20’ ‘G20 특별기획 세계정상에게 듣는다’ 등 특집과 시도 때도 없이 나오는 G20 홍보 스팟과 일일 뉴스까지 합하면 그 시간은 어마어마하다”고 지적했다. 상당수 인력이 G20 특집에 투입돼 정규 프로그램 제작마저 차질을 빚을 정도라고 했다.
KBS홈페이지 캡쳐
우리는 새 노조의 문제제기가 적절했다고 본다. G20가 중요한 국제행사인 것은 맞다. 방송은 그 의미를 충분히 조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G20의 명과 암을 균형된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G20 정상회의-쾌적한국 일류로 가는 길’ 특집류의 찬양 일변도는 행사 홍보, 정권 홍보에 앞장선다는 인상 이상의 것을 시청자들에게 주기 어렵다. G20에 대한 비판이 만만치 않음에도 선진국의 환상을 심어주기에만 급급하는 것은 도리어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국민은 1980년대의 주입식 홍보에 현혹될 의식 수준을 넘어선 지 오래다. 그런데 방송은 옛날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는 꼴이니 이것이야말로 후진적 방송의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이제 사람들은 G20 회의 하나 잘 치렀다고 해서 선진국이 되는 게 아님을 잘 안다. 이 정권은 4대강 사업 등에 반대 여론이 높은 주요 원인을 홍보부족 탓으로 돌리고 있다. KBS가 공영성 강화보다 정권 홍보에 힘을 쏟는 데는 이런 까닭이 있는 것인가.
'미디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C취재정보 증권가찌라시 유출, 삼성 직원 연루 (0) | 2010.11.01 |
---|---|
‘의제의 패자부활전’ 모바일 저널리즘으로 활짝 (0) | 2010.10.29 |
종편, 차라리 조중동, 매경, 한경에 다 주라 (0) | 2010.10.28 |
기자, PD를 정권홍보 도구로 전락시키지 말라 (0) | 2010.10.28 |
언론자유 69등과 42등의 차이(언론노조 민실위 보고서) (0) | 201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