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10명 중 7명 “광고 직접영업 등 종편에 준 특혜 회수해야"
종합편성채널을 보면서 시민들이 제일 불만스럽다고 말한 것은 정치적 편향성이었다. 내년 초 예정된 종편 재승인 심사 기준으로도 방송의 공정성을 가장 중요하게 봤다. 친정부·보수 편향의 보도나 시사토크가 한참 선을 넘었다고 보는 것이다. 종편에 준 여러가지 특혜를 환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70%를 넘긴 것도 종편을 보는 불편한 시선을 엿보게 한다.
경향신문이 지난 8~9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를 통해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0명에게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27.9%는 종편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정치적 성향이 편향적’이라고 꼽았다.
종편의 정치 편향을 문제삼은 비율은 30대(32.5%)·40대(31.7%)·50대(3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학력·고소득자,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자영업자들이 30%를 웃돌았다. 정치 편향과 함께 ‘정치 프로그램의 과잉’을 지적한 사람도 12.4%에 달해 10명 중 4명이 종편의 ‘정치화’에 불만을 표시했다.
‘재방송이 너무 많다’는 의견은 17.0%로 2위를 차지했다. 평균 50%가 넘는 종편의 높은 재방송 비율에 대한 시청자 불만이 수치로 확인된 것이다. ‘선정적·자극적 내용’을 지적한 응답자는 10.4%였고 ‘철 지난 인물들의 출연’을 꼽은 응답자는 4.6%였다.
내년 초 있을 종편 재승인 심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해야 할 요소로는 61.4%의 응답자가 ‘방송의 공정성’을 꼽았다. 방송 공정성은 지역·세대·계층을 가리지 않고 50~70%대의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대다수 시청자들이 방송의 기본 덕목으로 공정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현재 종편 방송은 그만큼 공정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두번째로 많은 답이 나온 것은 ‘콘텐츠의 질’(15.8%)이었다. 30대(22.8%)와 20대(19.3%)에서, 월 401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에서 특히 콘텐츠 완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출범 당시 사업계획의 이행 여부’를 택한 응답자는 12.6%였다. 호남(14.9%)·서울(14.7%)·경기인천(13.2%)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50대 이상에선 7~8%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재무구조’를 주요 평가요소로 꼽은 사람은 3.9%였다.
종편에 제공된 특혜는 10명 중 7명 이상이 회수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시간을 두고 천천히 회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51.6%로 가장 많고 ‘즉각 회수해야 한다’(20.8%)가 뒤를 이었다. 전체의 72.4%가 종편 특혜에 반대한 것이다.
종편 채널들은 현재 지상파에 인접한 황금채널 배정과 케이블 의무재전송, 24시간 방송, 중간광고 허용, 미디어렙법 적용 유예, 방송발전기금 납부 유예 등의 혜택을 받고 있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종편 사업자들이 초기에 자리잡을 때까지 도와줘야 한다는 ‘유치산업 보호’ 논리로 특혜를 정당화해왔지만 정작 시청자들은 이런 시각에 동의하지 않은 것이다. 종편 특혜를 ‘계속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15.9%에 그쳤다.
향후 종편 채널의 숫자는 ‘현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49.5%로 가장 많았다. ‘지금보다 줄여야 한다’는 응답자가 28.6%로 2위였고, ‘더 늘려야 한다’는 답은 13.8%를 기록했다.
김형규 기자 fidelio@kyunghyang.com
'미디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편 “여론 왜곡, 해악” “사회 통합 저해”… 이념·정치 편향이 가장 문제 (0) | 2013.11.22 |
---|---|
“종편 사업 전망, 더 나빠질 것” 39.6%가 응답 (0) | 2013.11.22 |
종편 주 시청자는 50~60대… “한번도 본 적 없다”도 27% (0) | 2013.11.22 |
“그 방송이 그 방송, 종편 필요성 못 느껴” (0) | 2013.11.22 |
미디어법 날치기 통과 후 종편 승인 과정 온갖 위법·편법 얼룩 (0) | 201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