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시청자는 50~60대… “한번도 본 적 없다”도 27%
종합편성채널의 주시청자는 50~60대였다. 60대의 종편 뉴스 시청비율은 20대의 5배를 넘었다. 종편을 보는 사람들의 절반은 ‘하루 1시간 이내’라고 답했고, 종편을 한 번도 본 적 없다는 사람은 27.1%였다.
경향신문이 지난 8~9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를 통해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0명에게 물어본 결과 종편 뉴스를 많이 보는 사람들은 ‘50대 이상’이었다. 50대의 22%, 60대 이상의 25.8%가 방송 뉴스를 주로 종편으로 본다고 답했다. 하지만 20대는 4.5%, 30대는 8.2%, 40대는 7.6%에 불과했다.
종편 4사 중에서는 TV조선 뉴스의 시청비율이 가장 높았다. 60대 이상에서 TV조선 뉴스 시청비율(17.2%)은 KBS(23.6%) 다음으로 2위였고, MBC(6.3%)·SBS(4.9%)보다 높았다. 50대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TV조선 뉴스의 20대(0.8%)·30대(0.5%) 시청비율은 바닥이었다. 30대는 종편 뉴스를 접하는 비율이 JTBC만 6.3%로 높았고, 나머지 종편 채널은 1% 내외였다. 채널A 뉴스는 지상파·YTN을 포함한 8개 뉴스 채널 중에서 점유율이 0.5%로 가장 낮았다.
종편 시청자 중 ‘하루에 1시간 이상 본다’는 사람은 20대 32.3%, 30대 35.1%에 불과했다. 60대는 1시간 이상 시청자가 69.1%에 달했고, 이중 14.9%는 4시간 이상 시청한다고 답했다. 50대의 55.4%, 40대의 47.9%가 종편을 하루 1시간 이상 본다고 답해 종편 시청 시간은 연령이 높을수록 많았다.
종편을 보지 않는 사람까지 합해 전체 응답자의 하루 종편 시청 시간을 환산하면, ‘1시간 이내’ 36.5%, ‘본 적 없다’ 27.1%, ‘1시간’ 16.8%, ‘2~3시간’ 14.9%, ‘4시간 이상’ 3.8%로 집계됐다.
종편에서 주로 시청하는 프로그램(중복응답)을 묻자 20대의 65.7%, 30대의 52.6%는 ‘예능·오락’을 꼽았다. 반면 50대의 58.3%, 60대 이상의 75.1%는 ‘보도·뉴스’를 꼽아 대비됐다.
학력별로는 저학력자들이 고학력자들보다 종편을 더 많이 시청했다. ‘중학교 졸업 이하’ 응답자는 KBS(57.6%)에 이어 TV조선(12%)이 2위를 차지했다. 고졸 학력자들도 TV조선(10%), MBN(4.7%), JTBC(3.7%), 채널A(1.2%) 순으로 각 종편 뉴스의 평균 시청률을 웃돌았다.
그러나 대학 재학 이상 고학력층의 뉴스 시청률은 TV조선(4.7%), 채널A(0.2%), MBN(1.5%)이 모두 평균보다 낮았고 JTBC(4.1%)만 평균을 웃돌았다. 직업별로는 농림어업·무직·주부·자영업 순으로 종편을 많이 봤다.
종편을 보는 주된 이유로 응답자들은 ‘프로그램이 다양해서’(35.2%)를 꼽았다. 새로운 포맷이나 색깔의 뉴스·시사·오락 프로그램을 접했다는 의미다. 이어 ‘보도·뉴스가 많아서’(25.7%), ‘재밌고 화끈한 프로그램이 많아서’(16.6%), ‘정치적 성향이 마음에 들어서’(10.4%) 순이었다.
특히 종편의 정치적 성향이 마음에 든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충청(20.8%)과 부산·울산·경남(13.7%) 순으로 많았고 서울은 상대적으로 낮은 7.9%였다.
이혜리 기자 lhr@kyunghyang.com
'미디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편 사업 전망, 더 나빠질 것” 39.6%가 응답 (0) | 2013.11.22 |
---|---|
시민 10명 중 7명 “광고 직접영업 등 종편에 준 특혜 회수해야" (0) | 2013.11.22 |
“그 방송이 그 방송, 종편 필요성 못 느껴” (0) | 2013.11.22 |
미디어법 날치기 통과 후 종편 승인 과정 온갖 위법·편법 얼룩 (0) | 2013.11.18 |
신방 겸영 주장했던 정병국 의원, 지금은 “난 오히려 말리던 사람” (0) | 201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