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뉴스

청, 세월호 비판 보도 자제 사실상 '협조' 요청 논란

청, 세월호 비판 보도 자제 사실상 '협조' 요청 논란




청와대는 19일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한 KBS 뉴스 보도에 청와대가 외압을 행사했다는 KBS 내부 폭로에 대해 다른 언론사들에도 ‘비판보다 구조가 우선’이라는 취지로 협조를 호소했을 뿐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정현 홍보수석은 이날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김시곤 전 KBS 보도국장이 “정부 쪽으로부터 해경을 비판하지 말라는 요청을 여러 차례 받았다”고 밝힌 데 대해 “당시 청와대 출입기자들에게 ‘지금은 절박하게 구조가 먼저’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특별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이 수석은 세월호 참사 엿새 뒤인 지난달 22일 청와대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한 번 도와주소. 국가가 매우 힘들고 어려운 상황입니다. 문제삼는 것은 좀 지난 뒤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지금은 사투하는 저들을 격려하고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할 때”라고 주문했다. 특별히 KBS만을 상대로 구체적인 보도를 주문한 것도 아니고, 당시엔 생존자 구조가 절박하므로 비판보다는 격려가 필요한 때라고 언론에 호소했다는 것이다. 



이는 청와대가 언론에 세월호 침몰사고 보도와 관련해 비판 보도를 하지 말아달라고 사실상 ‘협조’를 요청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김 전 국장이 “대통령 해외 순방 때마다 꼭지(보도하는 기사의 수) 늘리기 고민이 컸다”고 말한 데 대해 “외국 순방 때 대통령의 활동이 언론에 좀 더 실리도록 (여러 언론사에) 노력하는 것은 (청와대) 참모들의 당연한 임무 아니냐”고 말했다. 



“(KBS 길환영 사장이) ‘청와대로부터 연락이 왔다’며 회사를 그만두라고 했다”는 김 전 국장의 폭로에 대해선 “당시 (청와대 앞에) 유족들이 찾아온 후 사안의 심각성을 KBS 측에 전달했을 뿐 누구를 자르라는 식의 얘기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야당은 청와대의 KBS 외압 의혹 파문을 쟁점화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는 이날 당 연석회의에서 “국민의 방송을 표방하는 KBS가 대통령의 방송, 정권의 방송이었음이 탄로나고 있다”며 “청와대는 KBS 압력의 실체적 진실을 밝히고 KBS의 진짜 주인인 국민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KBS 사태는 세월호 사건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방송통신위원장은 물론 세월호 진상을 조작한 언론통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정현 홍보수석이 국회에 출석해 사실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공식 반응을 삼갔다. 이날 선대위 비공개회의에서 KBS 문제는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 최대한 쟁점화를 피하겠다는 것이다. 민현주 대변인은 “(KBS) 내부에서 먼저 정리가 돼야 한다. 현재 국회에서 나설 차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 내부적으로는 이번 파문이 지방선거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김진우·안홍욱 기자 jwkim@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