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9월 16일 창간 210편 최종 수정 : 2013.12.6.(금)
사실 관계 || 어휘 || 어법 || 논조 || 문화 Media.khan.kr (Noribang) || 편집 || 광고 || 여론 || 소통 || 생존
“제주산 광어 싸게 맛보세요” 우근민 제주지사(왼쪽에서 두번째)와 김해성 이마트 대표(세번째), 수산업계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이마트 성수점에서 열린 제주 어민 돕기 판촉 행사에서 시민들에게 광어회를 권하고 있다. | 이마트 제공
전자판 기사의 사진을 보면,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제주 지사와 상점 대표의 순서가
각각 왼쪽에서 두 번째이자 세 번째로 맞습니다. (통상 '번째'는 띄어쓰게 됩니다)
하지만 종이 신문을 기준으로 하면, 왼쪽에 팔만 나온 분의 모습이 통째로 잘려서
제주 지사가 왼쪽에서 첫 번째, 대형 상점 대표가 두 번째의 위치가 됩니다.
사진의 크기나 형상이 변경될 경우, 보다 신중한 편집이 있기를 바랍니다.
(경향신문 19면에 나온 해당 기사 - 전자판과 달리 사진에서 '팔만 나온 사람'이 없습니다)
<채동욱 전 검찰총장(54)의 ‘혼외 아들’로 지목된 채모군 개인정보 유출사건에 연루된 인사들 모두가 이명박 정부 시절 ‘실세’로 통한 이른바 ‘영포라인(경북 영일·포항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일부 인사는 이명박 전 대통령,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과 서울시에서 함께 일한 ‘S라인’이기도 하다. (중략) 채군 정보 유출사건에서 검찰 수사 대상이 된 핵심 3인방은 모두 영포라인이다. (중략) 조 국장에게 채군의 정보 조회를 부탁한 조오영 청와대 행정관(54)은 경북 안동 출신이다. 조 국장은 조 행정관이 부탁했을 때 “(조 행정관의 고향이) 안동이고 채군 본적이 대구라 친척 일인줄 알았다”고 말했다. 조 행정관도 이명박 서울시장 때 서울시에서 근무했고 이명박 정부 초기부터 청와대에서 일했다. 이명박 정부 말기 부이사관으로 승진한 뒤 정권이 바뀐 뒤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이재만 총무비서관 밑에서 일하고 있다.>
* 기사에서 제시된 대로 <영포라인>이 경북 영일/포항 출신을 일컫는다면,
검찰 수사 대상 핵심 3인방 중에서 <조오영 청와대 행정관> 한 명은 경북 안동 출신이므로
(이명박 서울특별시 - 청와대에서 일한 만큼 'S라인'에는 포함되지만)
그를 '영포라인'에 직접적으로 포함시키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물론 이명박 정권과 친한 영남 출신이나 비슷한 가치관/권력을 지닌 이도
'영포라인'으로 분류한다면 부정을 지적하는 기사에 간접적으로 녹여서 쓸 수는 있겠지만,
적어도 기사에서 인물의 출신지를 그 기준으로 따질 경우에는 '모두'라는 단어를 쓰기에 신중했으면 합니다.
[사설] 검찰총장 뒷조사가 ‘개인적 일탈’이라는 청와대
<결국 이를 차단하기 위해 ‘개인적 일탈론’을 제기했음직하다.> => 제기했음 직하다
<우리의 의지나 잘못과 상관없이 수산물을 마음 놓고 못 먹고 외출조차 마음대로 못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 못 하는
<우리는 굳이 OECD의 평가를 통하지 않아도 우리 아이들이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거두고 있으며 동시에 지옥 같은 학교생활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리고 그들을 그 수렁에 계속 집어넣고 있는 사람은 바로 우리 자신들이다. 그렇다면 이 반복되는 불행을 끝내는 그 첫번째 방법은 이 뻔한 평가에 굳이 참여하지 않는 것이다. 그것이 경쟁의 무거운 굴레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한꺼풀 해방시켜 주는 것이 아닐까.>
* 글쎄요. 국제적 학력 평가를 하지 않는다고 아이들이 경쟁에서 '한꺼풀' 해방된다고 볼 수 있을까요?
학력이나 성적 경쟁은 근본적으로 학문 자체의 문제만이라기에는
'사회에서의 자리잡기 및 생존 경쟁'과 많이 연관되어 있다면,
국제적인 학력 평가의 '학생 표본 추출'은 그걸 보여주는 결과물의 일부라고 할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거두는 것은 '평가에 참여하는 평균적인 학생'들이고,
기고문에 언급된 '불란서의 사례'처럼 계층, 혹은 지역별로 드러나는 학력 및 성적의 격차를
알아보고 보정할 기회가 될 수도 있겠지요... 물론 여기에는 정치인/교육자들의 철학이 연관되겠지만요.
나아가 높은 성적에도 학생들이 불행한 현실에 대해 일반인들이 지속적으로 각성할 계기를 주는 데는
역설적으로 이런 평가들이 나름대로 쓰일 가치도 있으리라 생각을 해 봅니다.
<조선조 말에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가 조선의 대신들을 모아 놓고 일본에 모든 권한을 위임하는 것이 어떻냐는
논의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총리 대신 한규설의 대답이 걸작입니다.
한규설은 '불가불가(不可不可)' 네 글자로 답했다고 합니다. 이 말은 세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불가 불가(不可 不可)'라고 끊으면, '안 돼 안 돼'라는 뜻이 됩니다.
또 '불가불 가(不可不 可)'로 끊으면, 어쩔 수 없지만 그렇게 할 수도 있다는 뜻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불 가불가(不可不可)'로 끊으면,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할 수 없는 것도 아니라는
어중간한 뜻이 됩니다.> 김교빈 <동양철학 에세이> 중에서
'=====지난 시리즈===== > Noribang의 석간 경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2. [세계 인권 선언일] 문화 창달과 수용의 권리 (0) | 2013.12.10 |
---|---|
211. 극적인 예체능 & 정시는 일반고에 손해?! (0) | 2013.12.09 |
209. [일반] 은거하기에는 적합... 하지만... (0) | 2013.12.04 |
208. 눈길에 미끄러지는, 욕망에 미끄러지는 (0) | 2013.11.28 |
207. 변덕스럽고 차가운 풍경 (0) | 2013.11.26 |